헬리코박터균 감염

헬리코박터균 감염


정의

헬리코박터균 감염증은 위점막에 주로 발생하는 박테리아인 헬리코박터(Helicobacter) 균에 의해 발생하는 위장 질환입니다. 이 감염은 주로 위의 점막을 침범하여 만성 위염, 위암 발병 연관된다고 알려져 있다. 1994년 WHO(세계보건기구)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을 발암 인자로 규정한 바 있다.

 

원인

헬리코박터균 감염증의 주요 원인은 위점막과 점액 사이에 기생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Helicobacter pylori)라는 박테리아이다. 이 박테리아는 인간의 위 점막에 증식하여 위장 질환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은 환경으로부터 감염된 후 인간의 위에 살아남아 활동한다. 특히 위의 산성 환경과 위 점막의 점막 제산물인 소독 효소들을 피해 살아남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위 내부에 오랜 기간 동안 남아 있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위 점막에 만성적인 염증을 유발하게 된다.

정확한 감염 경로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사람과 사람 사이에 전파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내시경등의 기구를 통해서 감염되기도 하고 약숫물, 술잔 돌리기, 음식을 한 그릇에 놓고 함께 먹으면서 전염되기도 한다.

 

증상

헬리코박터균 감염증의 증상은 다양하며 감염의 정도와 환자의 개인적인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대부분 환자는 무증상으로 감염이 지속되기도 하며 일부 환자들은 가벼운 소화 불량, 속쓰림, 급성 위염, 만성 활동성 위염, 상복부 통증, 만성 위축성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 위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진단

헬리코박터균 감염증은 일반적으로 위내시경을 하다 발견하는 경우가 흔하다. 또한, 혈액 검사나 튜브를 통해 숨을 내쉬게 하여 공기를 모아 검사하는 요소호기 검사(UBT)를 통해 진단한다. 요소호기 검사는 호흡을 통해 간단하게 그 자리에서 결과를 알 수 있는 정확한 검사이다.

 

치료

헬리코박터균 감염증 환자가 모두 치료받아야 할 필요는 없지만 위궤양 환자, 합병증을 동반한 십이지장 궤양 환자, 조기 위암 환자, 변연부 B 세포 림프종 환자는 반드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위암 환자의 직계가족, 설명되지 않는 철 결핍성 빈혈, 만성 특발 혈소판 감소증 환자에게는 헬리코박터 박멸 치료가 도움이 된다.

헬리코박터균 감염증 치료에 가장 흔히 사용되는 항생제로는 아메노피린(Amoxicillin), 클라리스로마이신(Clarithromycin), 메트로닐라졸(Metronidazole), 트리플드라그(Triple Therapy) 등이 있고 일반적으로 두 가지 이상의 항생제를 병용하여 사용해 1주일에서 2주일간 복용한다. 치료가 완료된 후에는 일정 기간 이후에 재검사를 통해 헬리코박터균 감염의 유무를 확인한다. 항생제 치료에 있어 항생제 부작용(설사, 복통, 오심, 두통, 어지러움, 쓴맛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의료진과 상담이 필요하다.

 

경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은 1994년 국제보건기구(WHO) 산하 국제 암 연구기관(IARC: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이 발표한 발암물질 등급표에 1급 발암물질(Group 1(definite carcinogen)) 중 세균으로는 유일하며 우리나라와 일본 등 동아시아에는 아직도 헬리코박터 유병률이 높다.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 국민의 50%는 양성이라고 조사되었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이 연관된 질환으로는 만성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 MALT 림프종이 있는데 암 발생률과 사망률 4위인 위암과 연관성이 밝혀지면서 헬리코박터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또한 최근 국내 연구진은 헬리코박터균이 전신 염증성 사이토카인 활성화를 비롯해 지질 대사의 장애를 유발하고 혈관손상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헬리코박터균 1차 제균 치료 성공률은 80% 정도이며 2차 제균 치료 성공률은 90% 정도에 이른다. 제균 이후에도 손 위생에 신경을 써야 하며 여러 사람과 함께 같은 국과 찌개를 먹는 일은 피해야 한다.

Leave a Comment